본문 바로가기
Now지구

[핵감축] 국가별 핵보유 핵탄두 보유 현황 2009년 ~ 2016년 비교

by 재물 2016. 12. 25.
반응형

[핵감축] 국가별 핵탄두 보유 현황 2009년 ~ 2016년 비교 입니다.

요즘 국제 정세가 많이 불안하죠.
트럼프가 미국대통령 당선 되면서 민족간의 갈등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또한 구소련의 붕괴와 함께 냉전체제가 화합으로 선회하는가 싶더니 최근에는 중국과 미국, 중국과 일본, 러시아와 미국간 신냉전체제에 돌입했다고 볼 수 있는데요.
여기서 3차세계대전이 일어나면 어떻게 될까 하는 개인적인 불안감도 있습니다.

 

 

.

 

 

왜냐하면 요즘 너무 상황이 안좋습니다.
여기에는 북한의 핵실험도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죠.

 

 

 

그럼 과거 지구에 9만기가 넘었던 핵탄두가 있었다고 하는데, 국제협약으로 2009년에는 23.6천기까지 대폭 낮췄다고 합니다.
지속적으로 핵보유를 줄여서 올해 여름 기준으로 15천기 정도로 떨어뜨렸다는데, 트럼프가 트위터에 언급한 말과 발언에서 러시아에 비해 많이 구형이고 핵보유를 늘려야 한다는 뉘앙스를 비추자 러시아 푸틴대통령도 발끈 했습니다.

 

 

 

어쨌든, 국가별 핵보유 현황이 어떻게 바뀌었는지 최근 것만 살펴보겠습니다.

 

 


2009년 출처: 가디언
1. 러시아 12,987
2. 미국 9,552
3. 프랑스 300
4. 이스라엘 200
5. 영국 192
6. 중국 176
7. 파키스탄 90
8. 인도 75
9. 북한 2

 

합계 : 23,574


이는 정확한 수치가 아니고 국가별 파악된 추정치에 불과하고 실제 더 보유했을 가능성이 크다 하겠습니다.
핵감축협상 이전에는 제가알기로 지구상에 총 9만기 이상 보유했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럼 2016년과 비교해볼까요?
(출처: fas.org -물론 추정치입니다)

러시아 7300기
미국 7000
프랑스 300
중국 260
UK 215
파키스탄 130
India 120
이스라엘 80
북한 20 (2020년 100기 정도로 늘어날 것으로 추정)

 

합계 : 15,425
SIPRI는 15,395로 발표

 

 

 

 

 

과거와 비교해서 확 늘어난 곳도 있고, 줄어든 나라도 있죠.
그러나 여전히 러시아와 미국의 보유는 전체의 93%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핵을 가지고 있다 없다가 아니라, 실질적 핵무기 사용가능 보유국을 말합니다.

국제정세가 최악으로 치닫고 균형이 깨지면 제 3차세계대전도 일어날 수 있겠죠.

개인적으로 핵도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혜성이나 외계 물체의 지구충돌 등같은 대제앙을 막기 위한 방패로 사용할 수 있다면 말이죠.
또한 힘의 균형을 위해 가지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은 하지만, 지나치게 많이 가지고 있거나, 힘의 균형이 깨지면 상당히 위험한 핵전력이 되니까요.
인간이 만든 핵으로 지구의 종말을 맞이할 수 도 있을테니까요.
너무 나갔나 ㅡ.ㅡ;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