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2100년 지구 기온 평균 3.7도 높아질 것으로 예상 지구온난화 문제

by 재물 2013. 9. 28.
반응형

2100년 지구 기온 평균 3.7도 높아질 것으로 예상 도어 지구 환경 문제에 보다 많은 관심을 쏟아야 할 때이다.
최근들어 지구환경 변화에 큰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화석연료와 인구 폭발적인 증가로 인하여 지구는 이산화 가스배출과 환경오염으로 온실가스 효과로 인한 지구 온난화 현상에 시달리고 있다.


2100년 이라면 먼 미래의 이야기지만 현재 진행형임을 심각하게 생각해야한다.
현재에도 극심한 가뭄이나, 폭우, 태풍, 이상기후등에 인류가 시달리고 있다.
앞으로 이런 현상이 더욱 가중될 것으로 생각되며, 유엔 정부 기후변화위원회가 전만항 자료에 의하면 2081~2100년에 지구 평균 기온이 1986~2005년에 비해 평균 3.7도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문제는 현 상태의 속도로 봤을때이다. 하지만 인구는 갈수록 증가하고 있고 환경오염은 갈수록 심각해져만 간다.

(나사에서 찍은 부극해 빙하 2012년 8월 27일 사진)

(나사에서 찍은 2013년 8월15일 찍은 북극해 빙하

-위성사진으로 보기엔 작년보다 더 많은 지역이 눈이 덮인 것을 알 수 있지만 이는 지구 온난화로 인한 극지방의 빙하가 녹는다는 보도와는 상반된 내용이다. 하지만 이는 더 추워져서 그렇다기 보다는 지구 이상기온으로 인한 일시적인 현상이라고 과학자들은 설명한다.

예를들어 지난 겨울 한반도에 유난히도 많이 내린 폭설로 인한 원인이 바로 이상기후로 인해 북극해를 원형으로 돌던 기류가 한반도 쪽으로 더 내려오면서 더 광범위한 지역으로 눈발을 날린 때문으로 설명하고 있다. }

(각종 매체에서 전달하는 2100년 지구 기온 상승에 대한 뉴스 )


대기오염,해양오염등도 마찬가지다.
이는 늘어나는 인구수 때문에 어쩔수 없는 환경오염이며, 통제를 한다고 하더라도 잘 지켜지지가 않는게 문제다.
현 상태의 속도로 기온이 올라간다면 2100년 지구 기온 과연 얼마나 변화가 될까?
보고에 따르면 온도가 3.7도 오르면 해수면 또한 평균 63cm 상승 할 것으로 예측했다.
우리 다음 세대는 이 재앙을 떠 안고 살아야 한다.
63cm 라면 별거 아닐 수 있지만 지구 전체로 보기때문에 어마어마한 양의 해수면 상승이다.
끝도 없는 오대양의 바다 전체가 평균 63cm 상승하는것이니 천문학적인 양의 바닷물의 높이가 그만큼 채워지는 것이다.


해일이 일어났을때 그만큼 바닷물이 높아졌기 때문에 더 많은 피해를 초래하게 된다.
가히 무서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바다와 맞닿아 있는 모든 해안지대는 그만큼 위험해 지는 것이다.
이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협의체 IPCC 제5차 평가보고서를 통해서도 보고된 사항이다.
이 보고에 따르면 온실가스를 현재와 같은 추세로 배출할 경우 21세기 말 지구의 평균기온이 위의 수치만큼 온도가 올라가고 해수면이 상승한다고 보고하고 있다.
이는 뉴욕과 상하이 등 세계 주요 도시 일부가 물에 잠기는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부산 저지대나 남해안과, 서해안 전체의 위치한 도시들의 저지대 마을들의 침수 피해가 예상된다고 한다.

(소중한 인류의 보금자리 지구 아끼고 사랑하자 )
하지만 과학자들의 예측보다 훨씬 빨리 진행된다면 더 큰 문제가 초래 될 것으로 생각된다.
지구 전체가 합심해서 지구온난화 문제와 환경오염 문제등에 따른 전 세계적인 혐의 체계가 구축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비단 지구온난화 문제는 어느 개인의 문제가 아닌 지구에 살고 있는 모든 인류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