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수돗물 절수 하는 방법 10계명 (물을 절약해서 씁시다)

by 재물 2014. 10. 15.
반응형

우리집 수돗물은 참많이 나옵니다.

저는 머리감을때 세숫대야 하나면 충분합니다.

바가지에 퍼서 5번을 헹구고도 남지요.

제가 짠돌이라구요?

그렇지만 가족이 쓰는 물이라 가족들은 물을 펑펑 쓰기에 제가 절약해서 쓰는 모습을 보여주고 함께 하자고 해도 그때뿐이라 가족 전체로 보면 우리집은 물낭비가 심합니다.

저번달에는 거의 3만원정도 나오고 이번달은 2만원정도 나왔네요.

겨울철이 돌아오니 동절기때눈 좀 덜 나옵니다만 하절기때는 왕창 나옵니다.

 

.

 

 

그래서 수돗물을 절수하는 10계명 함께 알아봐요.

상하수도 사용료 영수증에 보니까 나왔더라고요.

그래서 정리해 봅니다.

 

 

첫째, 수돗물은 용기에 받아 쓰는 습관을 가집시다.

- 용기에 받아쓰지 않고 그냥 틀어서 쓰면 당연히 낭비할 수 밖에 없습니다.

얼마나 쓰는지 체감하지 못하거든요.

 

둘째, 세탁물은 함께 모아서 세탁합시다.

- 아무래도 가족끼리 살면 세탁물이 어떨때는 왕창 나오고 어떨때는 조금씩 나옵니다.

모아서 빨래를 하면 절수가 되지요.

수시로 하면 물을 많이 사용하게 됩니다.

전기세도 아깝죠.

 

셋째, 목욕한 물은 세탁,청소, 화분용으로 다시 씁시다.

-  다시 재활용하는 센스가 필요합니다.

물부족 국가잖아요.

 

 

넷째, 설거지 할 때는 수도꼭지를 열어 놓고 하지 맙시다.

- 설거지 할때 우리집에서는 꼭 물을 잠그고 하는데요.

퐁퐁으로 다 씻은 다음 헹굴때 수도꼭지를 열어서 헹굽니다.

 

 

다섯째, 세면시 세면대에 70% 정도의 물을 받아서 쓰고, 양치질이나 면도 할 때는 수도꼭지를 꼭 잠급시다.

- 이것도 같은 뜻이네요. 쓸데 없이 물을 틀어놓으면 안되요.

 

 

여섯째, 물을 쓰는 일이 끝나면 수도꼭지가 제대로 잠겼는지 확인하는 습관을 가집시다.

- 우리집은 수도꼭지에 다 호스를 달아놨어요.

호스가 물에 잠겨 있으면 물이 조금 세어 나오는지 덜 잠겼는지 잘 몰라요.

이럴때도 꼭 잠겼는지 확인해야겠어요.

 

일곱째, 식기류등 음식물 그릇에 묻은 기름기는 휴지등으로 깨끗이 닦아낸 다음 물로 씻으면 한층 더 잘 닦입니다.

- 한꺼번에 씻으려면 물이 더 많이 필요하고 닦고 나서도 끈적거려 또 닦아야 하고 그래요.

그러니까 기름기는 미리 제거해 주고 씻는게 좋아요.

 

 

여덟째, 화장실 물탱크에 벽돌 한장, 혹은 빈명 한개를 넣어서 물 사용량을 줄입시다.

- 이것은 다들 아시죠?

물통에 물이 꽉 차지 않아도 변기의 물이 흘러내려가면서 씻어주니 물 사용량을 줄여야겠어요.

 

 

아홉째, 공중목욕탕에서 몸에 비누칠을 할 때 수도꼭지를 잠급시다.

- 공중목욕탕이라고 우리집 물 아니라고 함부로 쓰지 맙시다.

결국은 세금으로 더 나가게 되고 물세 오르는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합니다.

목욕탕가서 물 함부로 썼다고 무세 오른다는 말이 억지같기도 하지만 이런 습관이 모두 결국 소비자들에게 부메랑처럼 돌아온다는사실.

 

열째, 절수형 수도기기를 설치하여 수돗물을 절약합시다.

- 이것은 선택사항일 것 같은데 대부분의 가정에는 안달려 있는 것으로 확인됩니다.

주위에 아는 사람이 많아서 ㅎㅎ

그렇지만 절약하는 습관을 길러야겠어요.

 

 

 

이상 수돗물 절수 하는 10계명 함께 알아봤는데요.

 

 

 

참고로 수도를 장시간 장기간 사용하지 않을때가 있어요.

머리 여행가거나 몇 개월 집을 비우거나, 이주, 이사 할때 등 이죠.

이럴때는 해당읍면에 통보해야한데요.

그리고 휴전 또는 폐전신청을 하여야 한다네요.

 

.

 

 

생활에 유용한 생활정보 오늘은 수돗물 절수 하는 방법 알아봤네요.

.

 

 

반응형